노지에서 참외모종 심을때 재배방법,참외정화방법/순수사진
멜론 재배
참외는 고온을 요하는 작물로 서리가 내린 후 노지에서 심고 여름철 고온기에 수확하는 것이 기본 재배법이다.
참외의 발아 및 생육을 위한 최적 온도는 25°~30°C이며, 13°C 이하에서는 생육이 억제된다. 생산. 토양은 배수가 잘되고 배수가 잘됩니다. 토양 산도는 pH 6.0~6.8이 적당하다.
멜론은 질병이 많은 작물 중 하나입니다. 특히 잎이 노랗게 마르거나 빨리 시드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현상은 주로 질소비료가 과하거나 묘목을 너무 촘촘하게 심거나 가뭄이 심하거나 배수가 불량하거나 시비가 과할 때 발생한다. 질병을 예방하고 멜론을 좋아하는 조건에 따라 관리하려면 이러한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참외 재배에서 중요한 것은 일조량 조절과 수확! 순치기는 제때 열매를 얻기 위해 줄기 위로 올라온 새싹을 잘라버리는 일이다. 또한 고온작물이기 때문에 일조량 조절이 매우 중요하다. 흐린 날이 많으면 햇빛이 부족하여 줄기와 잎만 무성해지고 단맛과 향이 사라진다. 정원이 넓다면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키우세요.
.
멜론 묘목을 심을 때
야외 재배에서 멜론 묘목을 심을 때 늦은 서리가 끝났습니다 5월 초순부터 중순까지이며 수확기는 7월 중순부터 8월 중순까지입니다.
(중부지방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남부지방은 1~2주 일찍 참외모종을 심을 수 있습니다.)
참외는 고온작물이기 때문에 5월 초에 묘목을 심으면 뿌리를 내리기까지 3~4주가 걸립니다. 묘목 심기 시간 5월 중순에서 하순이면 1~2주 안에 정착한다.
기온이 20℃ 이상일 때 묘목을 심는 것이 좋습니다. 13℃ 이하에서는 생육을 멈추고 넓게 얕게 퍼진다.
참외는 이식을 싫어하는 박과식물로 참외 모종은 심은 후 뿌리가 새로운 줄기를 형성하고 자라는 데 오랜 시간이 걸립니다.
필드 메이킹
멜론은 햇볕이 잘 들고 배수가 잘 되는 곳에 적합합니다.
뿌리가 얕고 넓게 퍼지므로 이를 고려하여 흙이 부드러운 곳을 선택한다.
멜론은 튼튼하게 자라기 위해 많은 거름이 필요한 작물입니다. 따라서 묘목을 파종하거나 이식하기 전에는 밭을 최대한 깊게 갈고 잘 발효된 퇴비를 깔아주는 것이 좋다. 묘목을 이식하는 경우 심기 약 일주일 전에 평당 0.4~0.5kg의 복합비료를 상거름과 상거름으로 반으로 나누고 퇴비 7kg과 석회 0.3kg을 상거름으로 넣는다.
폭 1.5m 정도, 높이 10~20cm 정도의 갈비뼈를 만드는 것이 좋다.
줄기가 2m 정도 퍼지는 것을 고려하여 위치를 결정한다.
.
멜론 모종 심는 방법
화분에 심은 멜론 모종은 원줄기 다음에 자줄기가 나올 때, 즉 잎이 4~5장 자랐을 때 옮겨 심는 것이 좋다.
화분에 심은 모종에 물을 뿌린 후 2~3시간 후에 싹을 뽑아 심는 것이 좋다.
이때 화분의 바닥을 가볍게 눌러주면 모종을 다치지 않고 빼낼 수 있다.
오후에 모종을 심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식재간격은 능선 양쪽 끝에 식재간격이 약 60cm이다.
묘목이 땅 위에 오도록 심습니다. 그 이유는 멜론 뿌리가 정착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그런 다음 노출된 화분이 마르지 않도록 모종 화분 가장자리를 주변 흙으로 가볍게 덮어 마무리한다.
관상용으로 한두그루 심을 때는 별도의 능선을 만들지 않는다. 주변을 조금 더 높고 평평하게 만들어 심어주면 됩니다.
.재배 관리
낮에 물을 주기에 가장 좋은 시간은 해가 뜬 후 기온과 지면 온도가 상승하는 오전 10시에서 12시 사이입니다. 오후 늦게 물을 주면 지면 온도가 낮아지고 밤에는 잎에 수분이 남아 있어 참외의 질병 발생률이 높아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또한 참외는 흙에 닿으면 수분 때문에 벌레의 공격을 받기 쉽다. 이때 열매가 흙에 닿지 않도록 밑에 신문지나 비닐을 깔아준다. 참외는 결실 후 20일 이후에 물을 주면 당도와 향이 줄어들기 때문에 능선 위에 제초제를 깔아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참외는 밑거름이 조금 부족한듯 추가하고 생육을 보면서 상거름으로 생육을 조절합니다.
텃밭이나 주말농장에서는 구하기 쉬운 복합비료와 퇴비로 키워도 배수가 잘 되는 곳에 심으면 많이 벌어집니다. 상거름은 아주 많이 심고 20일경부터 20일 간격으로 2~3회 준다. 참외는 뿌리가 얕고 넓게 퍼지므로 퇴비를 한곳에 주기보다는
넓은 면적에 뿌린다는 생각으로 뿌려주세요. 습한 밭에서 재배하면 당도가 낮아 맛이 없다.
멜론을 정화하는 방법(순결한 그림)
1차 정돈법(본줄기 정화)
본엽이 5장 이상 나오면 원줄기를 적신다.
원줄기 마디에서 나온 곁가지가 자라면 아들 줄기가 된다.
원줄기에서 1차와 2차 곁순을 제거합니다.
원줄기에서 3번째, 4번째, 5번째 곁순을 아들 줄기로 키운다.
3 아들 줄기를 성장.
.
2차 정돈 방법(손대 세척)
아들 줄기에서 8번째 잎이 나오면 각각의 아들 줄기도 적신다(청소한다).
아들 줄기에서 나오는 곁순은 1~4번째까지 잘라서 5~8번째 곁가지를 낸다.
손자 줄기의 옆순을 키우면 손자 줄기가 된다.
3개의 손자 줄기를 키우십시오.
.
3차 가지치기(손자줄기 정화)
손자 줄기는 1~3번째 옆순을 제거하고,
멜론이 4번째 이상의 측면 새싹에서 자라면 멜론 열매에 3개의 잎만 남깁니다.
손자 줄기도 순하고 옆순은 나거나 꽃이 피면 바로 제거한다.
멜론 정화 그림
멜론은 손자 줄기에서 달린다.
때때로 암꽃이 피거나 아들 줄기에 열매가 맺힌다.
암꽃이 아들 줄기에 피고 열매가 달리면 즉시 제거한다.
.
손자 줄기당 하나의 멜론만 재배하십시오.
손자 줄기 3개를 키우면 9~12개의 참외가 달린다.
(손자 3행 * 손자 3행 = 9 또는 손자 4행 * 손자 3행 = 12)
참외는 오이와 달리 주로 원줄기(어미줄기, 어미덩굴)와 아들줄기(아들덩굴)에만 수꽃이 핀다. 암꽃은 손자줄기(손자덩굴)에 핀다.
참외는 암꽃에서 열리고, 결국 참외는 손자 줄기에서 달린다.
해충 방제 방법
흰가루병
■ 발병 조건 및 증상
잎에 밀가루를 뿌린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구분하기 쉽지만 발병 기간이 길어 방제하기 어렵다. 주로 집의 문에서 발생하며 습도가 낮을 때 발생하기 쉽습니다. 온도가 올라가면 자연스럽게 사라집니다.
■ 제어방식
흰가루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질소비료의 과다 사용을 줄이고 집안의 습도를 높이며 찌꺼기를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감염되면 잎에 흰 반점이 생기고 3~5일이 지나면 잎 전체로 퍼지기 때문에 조기 방제가 필수다. 약을 뿌리면 잎 표면의 흰 세균이 회색으로 변한다. 이때 약을 한 번 더 뿌려주는 것이 좋다.
노균병
■ 발병 조건 및 증상
주로 20~25˚C로 습하고 환기와 채광이 불량하며 물의 흐름이 약할 때 발생합니다. 3월 중순부터 오래된 잎에서 발생한다.
■ 제어방식
습식 또는 질소 함유 포장 도로에서 잘 발생합니다. 초기 방제에 실패하면 약제 살포 효과가 떨어지나 병원균이 잎 뒷면에 있기 때문에 잎 뒷면에 약제를 고르게 도포할 필요가 있다.
포도나무 마름병
■ 발병 조건 및 증상
줄기와 열매에 발생하며 유묘기부터 생육기간 내내 발생하나 4월 이후에는 계사 내 고온이 유지되면 병 발생이 감소한다. 줄기는 갈라지고 갈라지며 분홍색 수액이 흘러나오고 잎에는 가장자리부터 잎맥을 따라 부채꼴 모양의 병반과 둥근 무늬가 형성된다.
■ 제어방식
통풍을 개선하고 건조하게 자라기 위해 오래된 잎을 제거하십시오. 식재시 접목부위가 흙에 닿지 않도록 하고 심하게 감염된 식물체는 제거한다.
흑성병(흑성병)
■ 발병 조건 및 증상
더위와 습기가 많고 강우량이 많을 때 발생하며, 병원균이 많은 포자를 형성하여 매우 빠르게 퍼집니다. 새 잎, 새싹, 열매에 세로로 찍힌 병반이 나타나고 흑록색 곰팡이가 발생합니다.
■ 제어방식
특히 저온 계절에 새싹에서 처음으로 발생합니다. 살충제 살포는 조기에 해야 하지만 시기를 놓치면 대부분의 과실을 감염시켜 상당한 피해를 준다. 손자줄기나 손자줄기의 끝이 감염되면 생장점이 죽어 다른 줄기를 유도해야 한다.
진딧물
식재 후 초기에 진딧물을 방제하는 것이 좋으며, 새로 나온 잎 뒷면에 모여 기생하면 잎이 시들고 말라버리므로 살충제를 살포하여 진딧물의 몸이 묻히도록 한다.
수확 시간
참외의 수확 시기는 착과 후 30~35일, 고온기의 수확 시기는 27~30일이다. 노란색이 짙고 과실 뼈가 흰색일 때 수확한다. 조금 덜 익으면 덜 달고, 수확 시기를 놓치면 아삭아삭한 맛이 떨어집니다.멜론 자체의 온도가 낮은 이른 아침에 멜론을 수확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