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02. 14.
“나는 매우 행복하다.”
대표팀 공격수 황의조(31)가 13일 일본 가고시마현 기리시마시의 한 호텔에서 열린 FC서울의 두 번째 동계 전지훈련에서 만난 대표팀 포워드 황의조(31)는 창백한 얼굴에도 불구하고 미소를 지었다.
올겨울 서울과 6개월 단기임대 계약을 맺은 그는 전성기 축구선수의 부활이 절실하다. 이날 서울은 J3의 테가 바자로와 등급전을 치렀고, 황의조는 90분간 풀타임을 뛰었다. 팀에 온 지 1주일밖에 안 된 그의 몸이 조금씩 좋아지면서 안익수 서울 감독이 돌봐주고 있다. 그날 경기 시간을 조정하려 했지만 황의조가 풀타임으로 자원했다고 한다. 리그 개막이 2주도 채 남지 않은 시점에 맞춰 몸 상태를 개선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그는 가라테를 많이 들락날락했고 쿵쾅거리는 목소리로 팀원들과 소통하려고 노력했다.
훈련과 경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댈 수 있는 선수가 있어 편하다”고 말했다.
▲ FC 서울의 황의조가 13일 일본 가고시마현 기리시마 고쿠부구장에서 열린 팀 동계 전지훈련에 참석해 땀을 흘리고 있다. / 제공 : FC 서울
유럽 무대에서 승승장구하며 국가대표 ‘내장형 원톱’으로 거듭난 그는 2022~2023시즌 시련의 연속이었다. 유럽팀 지롱댕 보르도(프랑스)는 2부 리그로 강등됐고, 황의조는 빅팀의 러브콜을 받았지만 이적 협상이 늦어지면서 프리시즌을 충실히 보내지 못했다.
잉글랜드 프리미어리그(EPL) 노팅엄 포레스트로의 이적을 확정지은 뒤 소유권은 같지만 컨디션이 좋지 않아 전반 12경기에 그친 올림피아코스(그리스)와 한 시즌 임대 계약을 맺었다. 설상가상으로 올림피아코스가 임대를 조기 종료하기로 결정하면서 황의조는 국제축구연맹(FIFA) 규정에 따라 한 시즌에 3개 팀에서 뛸 수 없어 유럽 잔류가 어려워졌다.
유럽과는 다른 ‘춘추제’로 운영되는 리그에서만 뛸 수 있었고 한국과 일본, 미네소타와 애틀랜타의 메이저리그 구단에서도 관심을 보였다.
황의조는 “노팅엄에서 올림피아코스로 이적하는 과정이 쉽지는 않았지만 늦게 들어와서 뭔가를 빨리 보여주려고 해서 꼬인 것 같다. 중간에 감독이 바뀌고 전술도 바뀌었다”고 말했다. 그는 “선수로서 더 뛰고 싶은데 (결국) 안 해서 힘들었다. 나도 동료(황)와 인범으로 뛰면서 좋은 모습으로 월드컵에 가고 싶었는데…”라고 아쉬움을 드러냈다.
부활을 앞둔 황의조는 프로 데뷔팀 성남FC(구 성남일화) 시절 멘토였던 안익수 감독이 이끄는 서울을 선택했다. 원래 팀인 노팅엄도 6개월 임대 이적을 허용했다. 그는 “솔직히 왜 미국에 갈 생각을 못했을까. 만약 내가 떠났다면 지금보다 더 높은 연봉을 받고 뛸 수 있었을 텐데. 그러나 그는 긴 계약을 원했습니다. 나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6개월 후에 유럽으로 돌아가는 것이었다”고 말했다.
그리스 올림피아코스의 이미지. / EPA 연합뉴스
전현직 국가대표. 자신을 잘 아는 가이드를 만난 것은 행운이다. 하지만 축구의 색깔은 과거와 다르다. ‘숨막히는 수비’로 유명한 안 감독이 ‘포지션 파괴’를 앞세워 서울에서 역주행을 펼치고 있다.
황의조 감독은 “감독님이 성남에 있을 때 굉장히 콤팩트하고 수비도 잘했고 골을 넣어 축구 우승을 노렸다. 이제 그는 점유율을 높이면서 유기적으로 움직이고 공간을 찾습니다. 프랑스에 있을 때도 서울이 풀백을 중앙으로 좁히고 포지션에 상관없이 뛰는 걸 봤다. 언젠가는 골을 넣는 게 내 역할이다.” 안 감독처럼 발전을 중시하는 파울루 벤투 감독과 함께 지난해까지 4년 동안 대표팀에 있는 것도 플러스 요인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6개월 만에 결별했지만, ‘서울남자’로서의 책임감도 강조했다. “K리그에서 서울은 항상 좋은 선수들이 많았다”고 밝힌 황의조는 “전북, 울산처럼 좋은 팀들이 많지만 열심히 하겠다. 서울이 다시 우승을 위해 싸우고 리그를 이끄는 팀임을 보여주는 것이 최선이다. 응원해주세요”라고 말해 웃음을 자아냈다.
김용일 기자 [email protected]
스포츠서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