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OTT(영화 및 드라마 제공 서비스)에서 방영되는 학교폭력을 주제로 한 작품이 큰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넷플릭스 ‘더 글로리’, 웨이브 ‘약한 영웅’, 디즈니+ ‘3인칭 복수’, 티빙 ‘돼지의 왕’ 등의 드라마가 뛰어난 작품성을 가지고 각각의 방식으로 학교폭력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OTT는 지상파에 비해 표현 강도를 강하게 할 수 있고 드라마가 학교폭력의 민낯을 잘 보여줬기 때문에 작품성과 화제성을 확보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더 글로리 관련 MBC 라디오 인터뷰) youtu.be/T6b4C48kTfE://blog.naver.com [뉴스하이킥] ‘더 글로리’ 속 고데기 열 체크 실제로 플러스? 장학사가… https://youtu.be/T6b4C48kTfEhttps
이 작품들은 단순한 가상의 이야기가 아니라 현실을 잘 반영하고 고발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더 글로리』의 고데기 장면은 17년 전 사건에서 실제로 저질러진 것이며 가해자들은 특별한 처벌을 받지 않았습니다(참고: 최우성 장학사 MBC 라디오 인터뷰). 드라마 『나약한 영웅』에서 학생들이 마약 및 불법 도박에 손을 대는 것도 조사를 거쳐 실제 상황을 바탕으로 한 내용이라고 합니다(참고: 유수민 감독 인터뷰). 이렇게 작품을 통해 실제 사건과 상황을 들여다보는 것도 사회적 관심을 갖게 된다는 점에서 좋을 것 같습니다. 마찬가지로 학교폭력을 소재로 한 작품과 관련된 실제 사건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한공주 감독 수진 출연 천우희, 정인선, 김소연 개봉 2014.04.17.
2014년 개봉작 ‘한공주’는 2004년 발생한 ‘밀양 여중생 성폭행 사건’을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한 여중생(영화에서는 고등학생으로 변경)이 44명 이상의 남학생으로부터 집단 성폭행이나 협박을 당한 사건입니다. 언뜻 보면 학교폭력과는 조금 달라 보이지만 문제는 피해자가 전학간 뒤에도 피의자들의 학부모들이 학교를 찾아와 협박을 하고 사건을 피해자 탓인 것처럼 몰아갔다는 데 있습니다. 영화는 이러한 상황 속에서 피해자가 계속 폭력을 받고 힘든 학교생활을 하는 것을 그리고 있습니다. 실제 사건으로 가해자들은 소년부로 송치되어 전과조차 남지 않게 되었다고 합니다.
지렁이 감독 윤학렬 출연 김정균, 오예솔 개봉 2017.04.20.
2017년작 『지렁이』는 뇌성마비를 앓고 있는 아버지와 학교폭력 및 성폭력을 당해 자살한 딸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아버지는 딸의 복수를 위해 살인까지 저지르게 됩니다. 윤학렬 감독은 실제 학교폭력 및 그에 따른 자살사건 30여 건을 취재하여 영화 제작에 참고하였다고 합니다.
늦은 후…애감독 이승은 출연 지안, 강성필, 이동훈, 유지나, 신호빈, 김홍기, 정영주, 윤준호, 최예일, 신유식, 오경화 개봉 미개봉
『 늦은 후..사랑 』은 2013년 서울 지방 경찰청 경찰 40여명이 직접 시나리오를 쓰고 촬영, 편집 및 제작한 단편 영화로 학교 폭력의 심각성을 알리는 교내 폭력을 예방하기 위해서 만들어졌습니다. 2008년~2012년경에 실제 발생한 갈채, 폭행 사건을 각색하고 특히 도봉구의 한 중학교에서 유흥비를 마련하기 때문에 피해자에 거리에서 군고구마 장사를 한 실화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 학교 폭력 피해자가 자살하기 전에 엘리베이터에서 우는 장면을 담었는데, 이는 2011년 대구 중학생 자살 사건 사건을 연상시킵니다. 이 작품은 유튜브에 게재되어 큰 반향을 불렀지만, 유감이지만 현재는 비공개로 되어 있어 유튜브에서는 볼 수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가 기관이 나서서 이런 시도를 했던 것이 취지가 좋은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되며, 소개하게 되었습니다. 학교 폭력에 대한 관심에 힘입어 다시 공개되거나 이를 계승하는 작품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이 밖에 교내 폭력을 다룬 영화에서는 당신의 부모님의 얼굴을 보고 싶다.》, 『 여자 중학생 A』 『 죄 많은 소녀 』 『 우아한 거짓말 』 『 소년 시절의 너 』 등이 있습니다.
『더 글로리』가 해외에서도 큰 인기를 끌면서 태국에서는 연예인의 학교폭력 이력을 드러내고 이에 대한 사과를 요구하는 「태국 더 글로리」운동이 일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작품이 현실에 미치는 힘을 느낄 수 있는 부분입니다. 좋은 작품을 계기로 학교폭력에 대한 관심이 더 많아지고 대비가 더 좋아짐에 따라 피해사례가 줄어들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법률사무소 은강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중앙로 156420호
법률사무소 은강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중앙로 156420호
법률사무소 은강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중앙로 156420호